본문 바로가기

서평과 기사 및 리뷰 들54

CGN TV 《에덴의 언어》 출간 보도 #CGN TV 《에덴의 언어》 출간 보도 -이런 걸 외화내빈이라고 하지요. 에이그ˇˇ해도 해도 너무 하네요. 10개 신문. 방송사에서 인터뷰를 하거나 책 출간소식을 다뤄주는데도, 책 판매는 한심하기 짝이 없네요. 관심과 기도 부탁해요. http://news.cgntv.net/player/home.cgn?c=100&v=148193 (보도 내용) 언어의 기원, 발전 과정, 존재의 의미와 목적을 신학적 통찰로 풀어낸 인문교양서 ‘에덴의 언어’가 출간됐습니다. 책은 하늘의 언어, 땅의 언어를 부제로 신과 인간, 창조와 진화, 역사와 문화 등의 영역에서 언어와 관련된 심오한 질문들을 던지고 이에 답하는 형식으로 구성됐습니다. 신이 있다면 사람처럼 말을 하시는 것인지, 최초의 인간, 아담과 하와가 사용했던 에덴의 .. 2021. 5. 8.
김준수 목사, 인문교양서 ‘에덴의 언어’ 출간 김준수 목사, 인문교양서 ‘에덴의 언어’ 출간 입력 : 2021-04-22 17:54 ‘그래도 감사합니다’ ‘말의 축복’ 등을 펴낸 김준수 밝은세상교회 목사가 신작 ‘에덴의 언어’(북센)를 출간했다. 언어의 기원을 인문학·신학적으로 살피고, 종교의 언어와 과학의 언어 간 통합 가능성을 살피는 인문교양서다. 김 목사는 책에서 ‘언어가 신의 선물인가, 진화의 산물인가’를 자문하며 “만약 아담과 하와가 최초의 인간이라면, 이들이 쓴 언어가 ‘에덴의 언어’가 아닐까”라고 추측한다. 또 에덴의 언어가 존재했다면 현재 세계 각국의 수많은 언어 중 어떤 것에 영향을 미쳤고, 향후 복원 가능성은 있는지를 추론한다. 책 말미에는 창조와 진화, 과학과 종교와의 관계를 설명한 부분도 있다. 학술 논문이 아닌 에세이 형식으로.. 2021. 4. 24.
[서평]에덴의 언어 [서평]에덴의 언어 에덴의 언어 현재 지구상엔 7천 개가 넘는 언어들이 있다고 한다. 서로 관련이 있는 언어들을 역사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어떤 시점에서 하나의 유일한 언어를 만나는데, 그 언어를 조어라고 한다. 저자는 창세기를 바탕으로 인간의 최초 언어인 에덴의 언어를 탐구했다. 창세기는 인간의 언어가 신에게서 비롯되었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 에덴에서 사용된 아담의 언어는 원시언어와는 다른 차원 높은 수준의 언어라는 것을 많은 면을 할애해 설명해주었다. 아름다운 지상 낙원 에덴에 살고 있던 아담과 하와는 너무나도 선명하게 신과 대화했다. 이 실제적인 장면은 에덴에 2개의 언어가 공존했음을 뜻한다. 바로 신의 언어와 아담의 언어다. 성경엔 하나님께서 사용하시는 언어가 있었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려주고 .. 2021. 4. 22.
<책 서평> 에덴의 언어-작성자 품성독서코치 는 내가 평소에 존경하던 김준수 목사님이 쓰신 책이다. 탁월한 글쟁이요, 사상가이며 목회자로 영혼을 돌보는 일을 하면서도 꾸준히 책을 쓰시고 계신다. 역사, 철학, 신학, 문학에 대한 풍부한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남다른 통찰력을 가지고 계신다. 이 책이 나오기도 전에 네이버의 주목받는 인문학 책으로 선정이 되어 화제가 되었었다. 언어의 기원과 언어의 분화 및 다양한 관점에서 언어를 이야기하고 있는 인문학적인 책이다. 에덴의 언어저자김준수출판북센발매2021.04.12. ​ 언어는 질서다. 그리고 언어는 창조다. 언어, 그것은 삶의 향취이다. 인간은 언어가 자신은 고상하게 하고 품격을 높여준다는 것을 알았다. 인간은 이 언어로 사랑하는 법을 알았고, 예의를 배웠고, 지식을 쌓았으며, 후손에게 정의와 공평.. 2021. 4. 22.
김준수님의 "에덴의 언어" 김준수님의 "에덴의 언어" 에덴의 언어 저자 김준수 출판 북센 발매 2021.04.12. ​ 책제목을 본 순간 성경을 읽으면서 아담과 하와가 어떤 언어를 사용했는지 왜 궁금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면서 지적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성경에서는 분명이 하나님과 아담, 하와, 뱀이 대화를 했다고 말한다. 어떤 언어를 사용했을까? 어떻게 그때의 언어를 찾아갈지 그 과정이 너무 궁금했다. ​ 언어는 창조주 하나님께서 자신의 형상과 모양대로 창조된 인간에게 주신 특별한 선물이라는 말에 동의한다. 이 책은 유전생물학적 언어, 종교적 언어, 아담의 언어로 이 세가지 견해로 인류 최초의 언어와 그 발달 과정에 대한 견해들을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은 이 같은 언어의 기원과 언어를 주제로 자연과 인간과 신에 대한 인문학적.. 2021. 4. 22.
에덴의 언어 |작성자 성일이 에덴의 언어는 땅의 언어일까? 하늘의 언어일까? 물론 이 땅의 사람 아담의 언어이니까 땅의 언어일 것이다. 그렇다면 처음 아담이 사용한 언어는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어떻게 다를까? 현재 아이들이 태어나면 배우는 언어처럼 아주 유치한 수준의 언어는 아니었을 것이다. 저자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비슷한 고급스런 언어였을 것이라 말한다. 저자의 상상력을 동원한 언어에 대한 생각이 참 재미있다. 언어는 문명하고 깊은 연관이 있다. 언어에는 정치와 문화 그리고 사회가 담겨져 있다. 성경에서 하나님이 언어를 혼잡케 한 것은 그 문명을 싫어하셨기 때문일 것이다. 에덴에서의 대화는 하나님과 아담 그리고 하와 또한 뱀이 하고 있다. 다른 이는 등장하지 않는다. 아마 그때 사용한 언어 곧 에덴의 언어가 천국의 .. 2021.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