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12월 31일〉 (김준수 목사/밀라드)
사랑과 우정, 약속과 신뢰, 삶과 죽음, 이상과 현실, 신앙과 이성, 희생과 헌신… 하나로 어우러질 것 같지 않은 주제들이 작품을 관통해 이야기를 끌고 간다. <모세오경: 구약신학의 저수지>, <말의 축복>, <그래도 감사합니다>, <에덴의 언어> 등 인문과 교양, 신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꾸준히 작품활동을 해온 김준수 목사(밝은세상교회)가 이번에는 장편소설을 들고 돌아왔다.

김 목사의 신작 <그날, 12월 31일>은 신문기자를 관두고 문학을 하겠다며 겁 없이 문단에 뛰어든 무명의 젊은 작가 김현수와 그의 옛 연인이며 고고학 박사인 윤희재, 현재의 삶보다는 종교적 열광과 세상 종말에 대한 기대감에 사로잡혀 유토피아를 열망하는 수학박사 이필선 사이에서 벌어지는 기묘한 사건을 다룬다. 작품은 주인공들이 맞닥뜨리는 1999년 12월 31일 자정을 향해 치닫고, 각기 목적이 다른 세 사람은 마침내 그날 뜻밖의 사태를 마주한다.
배경이 된 1999년 12월 31일에서 2000년으로 넘어가는 밀레니엄 전환의 시기, 지구촌은 큰 소동을 겪었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예수가 재림할 것이라고 하면서 교회와 성당으로 몰려들었고, 덩달아 비기독교인들도 세상이 끝날 것 같은 공포에 사로잡혔다. 이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는 다미선교회와 이스라엘 현장 사역자, 일부 극단적인 세대주의자 등 시한부 종말론자들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이처럼 인류 역사에서 옛날이나 지금이나 사람들의 끊임없는 관심사가 돼온 종말론이 이 책의 화제다.
김 목사는 “종말론은 역사 인식과 세계관, 타자와의 관계, 하나님과의 관계, 교회와 이스라엘의 관계, 시간과 존재 등 사고 형성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는 만큼, 건강한 종말론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작품을 통해 ‘미래의 영원한 천국을 소망하는 것은 좋지만, 너무 지나쳐서 현재의 삶을 포기하거나 경시하는 태도는 없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과장된 종말론에 사로잡혀 땅에 있는 것들을 무가치하게 여기는 일부 크리스천들의 신앙 태도를 경계하며, 저자는 독자들에게 “당신의 인생을 사랑하라”고 당부한다. 종말의 시기와 방식은 오직 하나님께 맡기고, 묵묵히 소망 가운데서 현재의 삶에 충실하자는 것.
이 작품의 주독자층은 기독교인들이지만, 교회 밖 일반일들이 알아듣고 이해할 수 있도록 기독교적 언어 사용을 지양했다. 그는 “직접적으로 복음을 선포하지 않더라도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적절한 메시지를 줘서 무너져가는 교회를 세우고 기독교 신앙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싶었다”면서 “기독교인들에게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삶이 얼마나 가치있는 것인지 용기와 희망을 주고, 비기독교인들에게는 교회로 발걸음을 이끌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밝혔다.
정원희 기자 whjung@kidok.com
[북앤북스] 장편소설로 만나는 '건강한 종말론' - 기독신문
〈그날, 12월 31일〉 (김준수 목사/밀라드)사랑과 우정, 약속과 신뢰, 삶과 죽음, 이상과 현실, 신앙과 이성, 희생과 헌신… 하나로 어우러질 것 같지 않은 주제들이 작품을 관통해 이야기를 끌고
www.kidok.com
'서평과 기사 및 리뷰 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준수 목사 첫 장편소설 ‘그날, 12월 31일’ 출간 화제-뉴스엔넷 (0) | 2022.10.15 |
---|---|
라미맘의 일상-그날, 12월 31일 (0) | 2022.10.15 |
김준수 목사, 첫 장편 ‘그날, 12월 31일’ 출간 ‘화제’ (1) | 2022.10.11 |
김준수 목사 장편소설, ‘그날, 12월 31일’ 펴내 팩션소설 ‘다윗의 열쇠’를 찾아 나선 3인 주인공의 여정 (0) | 2022.10.11 |
바른 종말론, 소설로 조명한 『그날, 12월 31일』- 기독교포털뉴스 (0) | 2022.10.10 |